얼마 전, 제 어머니께서 국민연금을 처음 받으셨습니다. 드디어 국민연금을 받는다는 기대감이 매우 컸는데, 막상 통장을 확인하신 어머니는 생각보다 금액이 적다고 좀 아쉬워하셨습니다.
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납부한 보험료에 따라 수령액이 달라집니다. 어머니께서는 오랜 기간 국민연금을 납부해 오셨지만, 정확한 예상 연금액을 미리 확인한 적이 없으셨나봅니다;
이처럼 많은 분들이 국민연금을 받기 전까지 정확한 수령액을 잘 모르고 계십니다. 그래서 오늘은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확인하는 방법과 계산법, 조기수령 시 고려할 점 등을 자세히 정리해보았습니다.
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방법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어머니께서도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시는 편이라, 저는 모바일 앱을 활용해 예상 연금액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.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방법
어머니처럼 스마트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하는 것이 더 편리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서비스 이용 방법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(바로가기)에 접속합니다.
- "전자민원서비스"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"개인서비스"에서 "예상연금액 조회"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 인증(카카오톡, 네이버 인증 등)으로 로그인합니다.
- 본인의 예상 연금액 및 납부 내역을 확인합니다.
✅ 필요한 준비물
-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 인증
-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PC 또는 스마트폰
어머니께서는 공동인증서를 어디에 저장해 두셨는지 모르셔서 헤매시더군요.. 결국 PC에서 공동인증서를 찾아 로그인하셨습니다. 인증 과정이 번거롭기는 하지만, 한 번 로그인하면 연금 예상 수령액과 납부 내역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
모바일 앱 ‘내 곁에 국민연금’에서 조회하는 방법
컴퓨터보다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시는 분들은 모바일 앱을 활용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.
- 스마트폰에서 ‘내 곁에 국민연금’ 앱을 다운로드합니다.
(안드로이드 다운로드 / iOS 다운로드) - 앱을 실행한 후 로그인합니다.
- "전체 메뉴"에서 "예상노령연금"을 선택합니다.
- 예상 연금액 및 납부 내역을 확인합니다.
앱을 실행해 보니, 공인인증서 없이도 간편 인증을 통해 쉽게 로그인할 수 있었습니다.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시는 분이라면 이 방법이 더 빠르고 편리할 것입니다.
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계산법
국민연금은 가입기간과 평균 소득월액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집니다.
🔹 국민연금 기본 계산 공식
기본연금액 = [(A값 + B값) ÷ 2] × 가입연수 × 지급률
- A값: 본인의 생애 평균소득월액
- B값: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의 평균소득월액
- 지급률: 가입 연수에 따라 차등 적용
예상 연금액 예시
출생연도 | 월 소득 200만 원 | 월 소득 300만 원 |
1963년생 | 1,267,273 원 | 1,631,788 원 |
1970년생 | 1,520,727 원 | 1,958,146 원 |
1975년생 | 1,701,766 원 | 2,191,258 원 |
어머니의 경우, 월 소득이 250만 원 정도였기 때문에 예상 수령액은 160만 원 정도로 나왔습니다. 어머니께서는 "생각보다 연금이 많이 나오는 것 같아 안심이 된다."라고 좋아하시더라고요.
국민연금 조기수령, 받을까 말까?
어머니께서는 혹시 내가 조금 더 일찍 받을 수도 있었던 걸까 하시며 조기수령에 대해 궁금해하셨습니다.
조기수령 조건
-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합니다.
- 만 60세부터 연금을 조기 수령할 수 있습니다.
- 소득이 있는 경우 감액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조기수령을 하면 연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.
조기수령 연령별 지급률
지급 연령 | 지급률 (%) |
60세 | 94% |
59세 | 88% |
58세 | 82% |
57세 | 76% |
56세 | 70% |
조기수령을 하면 연금액이 최대 30% 감소할 수 있습니다.
어머니께서 "조기수령 했으면 더 손해 볼 뻔했네!"라고 하시며, 조기수령을 하지 않고 제때 받기를 잘했다고 말씀하셨습니다.
국민연금 환급금이란?
국민연금 환급금은 과오납부된 보험료나 10년을 채우지 못한 경우 돌려받는 금액입니다.
환급금 조회 방법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
- "환수금 납부내역 조회" 선택
- 간편 인증 후 조회
환급금은 5년 이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되므로,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국민연금 신청 및 문의 방법
- 온라인 신청: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신청
- 전화 신청: ☎ 1355
- 방문 신청: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
마무리: 국민연금을 제대로 활용하려면?
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을 미리 조회하고 본인의 연금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✔ 조기수령 시 연금액이 줄어들기 때문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.
✔ 환급금이 있는 경우 5년 이내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.
어머니와 함께 국민연금을 조회해보니, 미리 알아두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습니다.
아직 예상 수령액을 확인하지 않으셨다면, 지금 바로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.
🔗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 바로 가기: 국민연금공단
'복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동수당 신청 후기 (방법, 조건) (0) | 2025.02.26 |
---|---|
공증용 인감증명서 발급 후기 (0) | 2025.02.24 |
2025년 임업·산림직불금, 지금 준비하세요! (0) | 2025.02.22 |
가정보육수당, 신청부터 혜택까지 총정리! (0) | 2025.02.22 |
65세 이상 교통카드 대리 신청 후기 (0) | 2025.02.22 |